반응형
1. 와인의 역사
자료에 나타난 최초의 기록은 BC 3000년경 포도 씨앗이 무덤에서 발견되었다.
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문명 발생 지역에서 발전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.
BC 8000년경 : 메소포타미아 유역의 그루지아 지역에서 압착기 발견되었다.
BC 7500년경 :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와인 저장실 발견되었다.
BC 4000~3500년 : 와인을 담은 항아리 발견되었다.
BC 2000년 : 바빌론의 함무라비 법전에 와인의 상거래에 대한 내용이 있다. 이것이 와인에 관련된 최초의 기술이다.
이렇게 까지 와인의 역사가 길다!

2. 와인의 양조방법 및 테스팅
1. 와인의 양조방법
1) Red Wine
- 포도즙과 씨, 껍질을 함께 발효. 이때 포도의 탄닌 성분으로 포도주의 떫은맛이 생긴다
- 양조법 : 수확 - 파쇄 - 발효 - 압착 - 여과 - 숙성 - 병입
2) White Wine
- 적포도의 껍질을 제거하거나 백포도를 사용하여 포도껍질과 씨를 포도즙과 분리하여 발효한다.
- 양조법 : 수확 - 파쇄 - 압착 - 발효 - 여과 - 숙성 - 병입
3) Rose Wine : 레드 와인보다 발효시간을 짧게 하고 압착한다. 이로 인해 엷은 로제 빛의 와인이 만들어진다.
2. 와인 테스팅 시 주요 요소
- 색 (Appearance) : 깨끗하고 선명한 색을 나타내야 한다.
- 향 (Bouguet) : 와인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다양한 향을 지닌다.
- 맛 (Taste) : 신맛과 떫은맛이 대표적인 맛이다.
- 끝 맛 (Finish) : 와인을 마신 후 느끼는 맛이다.
- 균형감 (Balance) : 탄닌, 신맛, 단맛 등이 조화되는 것이 와인의 균형을 결정짓는다.
3. 포도 품종
1) 레드와인 품종
- Cabernet Sarvignon: 보르도 지방의 메독, 그라브 지역을 중심으로 숙성이 덜 된 경우 블랙커런트, 나무딸기 등 붉은색 과일 향이 감지된다. 숙성되면서 후추나 생강 등의 자극적인 향이 첨가되며, 송로버섯의 은은한 향도 느껴진다.
- Melot: 블랙커런트와 나무딸기 향이 지배적으로 느껴지나 전체적으로 어느 한쪽이 두드러지지 않고 어울려져 좋은 느낌을 준다.
- Pinot Nori: 껍질은 두꺼운 편이며 타닌과 신맛이 약하며 빛깔은 맑고 엷은 붉은색을 띤다.
- Malbec: 진한 칼라, 풀바디, 탄닌이 많이 들어 있으며, 블랙커런트, 민트, 삼나무향이 난다. 신세계 지역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다.
- Zinfandel: 블루베리와 블랙체리 향이 진하게 나며 감초와 라즈베리 향, 후추향도 난다. 당도가 높기 때문에 알코올 도수가 높은 편이다. 주로 캘리포니아 북쪽에서 재배되는데, 서늘한 해안 지역에서 좋은 품질의 와인이 많이 만들어진다.
- Gamay: 과일향이 풍부하게 느껴지며, 사과와 파인애플 향이 두드러지게 감지된다 전체적으로 상쾌하고 신선한 느낌이다.
- Nebbiolo : 두꺼운 껍질과 짙은 보라색을 가진 이 포도는 수확이 늦은 편이다. 탄닌, 산이 많은 힘 있는 포도 품종이다. 블랙체리, 아니스 감초 향이 난다.
2)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
- Chardonnay : 코트로르 지역 와인에서는 개암나무, 아몬드, 아카시아 향이 지배적으로 느껴지며, 버터, 토스트 냄새 등도 감지된다. 샤블리 지역산 와인에서는 민트향이 느껴지며, 파인애플 등 열대과일 냄새도 난다.
- Sanvignon Blance : 향이 신선하고 생동감이 넘친다. 나무 상자의 풀잎 향이 강하게 느껴진다.
- Riesling : 우아한 풀잎 향이 느껴지며, 자극적인 향료와 사향 냄새도 감지된다. 리슬링으로 만든 스위트 와인의 경우에는 귤, 오렌지 향도 느껴진다.
- Semillion : 복숭아처럼 둥근 모양의 세미용은 두 가지 스타일이 있는데 배럴 발효를 통해 감미로움을 주거나 혹은 드라이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이 있다.
- Pinot Gris : 전반적으로 중성적인 느낌을 주는 피노 그리는 와인 양조 방식에 따라 가벼울 수도 있으나 매우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품 바디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.
4. 와인의 분류
1) 색상에 따른 분류
- 화이트 와인 : 생선 요리, 송아지 요리 등과 어울린다.
- 레드 와인 : 쇠고기 요리, 양고기 등과 어울린다.
2) 맛에 의한 분류
- 드라이 와인 : 과즙의 당분을 완전 발효하여 당분 향이 1& 이하인 와인을 말한다.
- 스위트 와인 : 당분 함량이 8~12%로 식후주로 애용된다.
3) 알코올 첨가 유무에 의한 분류
- Fortified wine : 변질을 예방하고 장기보존을 위해 1~5% 브랜디를 첨가. 포르투갈의 port wine과 스페인의 Sherry wine이 있다.
- Unfortified wine : 8~13% 정도의 알코올 농도의 발효 와인이다.
4) 탄산가스 유무에 의한 분류
- 스파클링 와인 (Sparkling wine) : 탄산가스가 들어있는 포도주로 샴페인 지방의 것이 유명. 나라별 명징으로는 프랑스 샴페인 지방은 샴페인 그 외는 Mousseux, 독일은 Seket, 스페인은 Cava, 이탈리아는 Spumante, 미국은 Sparkling으로 불린다.
- 스틸 와인 (Still wine) : 탄산가스가 들어있지 않은 와인을 말한다.
5) 식사별에 의한 분류
- 식전주 (Aperitf wine) : 식욕촉진의 쓴맛을 가진 Dry sherry, Vermouth 등이 있다.
- 테이블 와인 (Table wine) : 가볍게 식사와 함께 할 수 있는 와인이다.
- 디저트 와인 (Desser wine) : 달콤한 와인으로 포트 와인 (Port wine)이 유명하다.
반응형
'성장 기초 체력 > 술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queur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술공부 (0) | 2022.08.30 |
---|---|
각 나라별 와인에 대한 특징 및 라벨 읽는법 (와인 기초) (0) | 2022.08.28 |
칵테일에 필요한 기구 및 글래스 (1) | 2022.08.18 |
칵테일의 역사, 분류, 조주법에 대하여 (2) | 2022.08.17 |
위스키의 역사, 분류, 제조과정, 마시는 방법 (1) | 2022.08.06 |
댓글